상담의 방향성
첫째. 청소년기에는 “나는 누구냐?” “나는 어떤 사람으로 살아가야 하나?" 하는 문제로 큰 혼란이 일어납니다. 남다른 학생일수록 이 고민은 더 심각합니다. 그럼에도 기존 교육은 이러한 문제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학생들 각자가 원하는 모습을 찾고 본 학교의 특성화된 교과 과정이 그것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갖도록 합니다.
둘째. 청소년기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해 감정기복이 크고 조절하기 어렵습니다. 이것은 결국 가족과의 갈등을 일으키고 일탈적인 행동을 보이기 쉽게 만듭니다. 창의적인 학생일수록 이 문제는 더욱 클 것입니다. 하지만 오늘날의 학생들은 감정을 보살필 여유가 없습니다. 따라서 학생의 감정을 이해하고 객관적으로 자신의 모습을 보게 하므로 감정 조절력을 갖게 해야 합니다. 결과적으로 두 가지 방향성이 추구하는 바는 학생의 공부에 대한 동기와 집중력을 높여서 성취감을 경험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감과 자부심을 갖게 하는 것입니다.
상담진
* 상담고문 : 전문상담. 및 총자문
* 상담부장 : 생활상담
* 담임교사 : 생활지도
* 교육목사 : 신앙상담
상담절차
* 입학 면담 시: 부모와 상담고문의 면담을 통해 가정환경과 학생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협의합니다.
* 입학 후: 학생이 소속한 반의 담임선생이 생활지도 중 상담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,
상담부장과 협의하여 상담 개입 수준을 결정합니다.
즉 학교 생활상담이 필요한 경우, 상담부장이 개별 상담 합니다.
반면 전문 상담이 필요한 경우, 상담고문이 개별 혹은 집단 상담하며 담임들과 협의해 나갑니다.
* 필요한 경우 별도로 부모 상담을 할 수 있습니다.
* 높은 수준의 부모 상담을 원하는 경우 아래의 전문기관에 상담 의뢰하고 협조 가능합니다(유료).
서울 : 새미래심리건강연구소
대구 : 새미래심리건강연구소